<p></p><br /><br />다음 주엔 베이징 패럴림픽이 개막하지요.<br> <br> 중국은 장애인들도 휠체어를 타고 만리장성까지 오를 수 있다, 선전하는데요.<br><br> <세계를 가다> 사공성근 특파원이 이 휠체어, 직접 타봤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 14년 만에 패럴림픽이 열리는 중국에서는 장애인 거주 환경 구축이 한창입니다. <br> <br>[CCTV보도(어제)] <br>"배리어 프리 설비, 패럴림픽 주변 시설 및 도로표시판 등 사전 준비 작업이 분초를 다투고 있습니다." <br> <br> 현지 매체들은 공항과 도심 등에 장애인 시설이 생겼다고 앞다퉈 보도합니다. <br><br>"만리장성도 패럴림픽을 앞두고 장애인을 위해 일부 구간을 새단장했습니다. 휠체어를 탄 장애인도 전용길을 통해 만리장성에 오를 수 있습니다."<br> <br> 하지만 일주일 전에 내린 눈은 그대로 방치됐고 관리도 허술합니다. <br> <br> 휠체어 바퀴는 헛돌기만 하고 결국 직접 끌고서 이동해야 했습니다. <br> <br> 장애인 전용길은 해당 만리장성 구간의 1/100도 되지 않아 사실상 보여주기 행정입니다. <br><br> 승무원 도움으로 지하철에는 올랐지만, 장애인 전용석은 없었습니다. <br> <br> 휠체어 바퀴도 고정할 수 없어 불안하게 이동해야 했습니다. <br> <br> 올림픽 경기장 주변을 이동하려면 코로나19 폐쇄 루프가 가장 큰 걸림돌입니다. <br><br>경기 참참가자의 동선을 구별하기 위해 설치된 펜스가 점자 블럭이 있는 보행로를 차지했고, 펜스 밖에선 도로로 다녀야했습니다.<br> <br> 당국은 올림픽 공원 내부에도 문턱을 없앴다고 했지만, 가는 곳마다 고생입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쿵! 쿵!" <br> <br> 안내표지판에는 시각 장애인용 점자도 없습니다. <br><br> 베이징 도심 빌딩촌도 상황은 마찬가지. <br> <br> 점자 블럭은 깨졌고, 자전거와 오토바이 운행으로 통행권이 제대로 확보되지 않습니다. <br><br>중국의 등록 장애인 수만 3천7백만 명, 실제로는 9천만 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 장애인 통행로가 제대로 갖춰지지 않아 사망 사고도 끊이지 않습니다. <br><br> 패럴림픽을 계기로 시설 확충에 나섰지만 당국의 섬세한 배려는 여전히 부족해보입니다. <br> <br>베이징에서 채널A 뉴스 사공성근입니다. <br><br>사공성근 베이징 특파원<br><br>영상취재 : 위진량(VJ) <br>영상편집 : 이승근<br /><br /><br />사공성근 기자 402@donga.com